Gizzahub
    • 튜토리얼
    • 깃자헙 위키
    • Categories
    • Recent
    • Tags
    • Popular
    • World
    • Users
    • Groups
    • Login

    [오늘의 AI 뉴스 종합] 전남 AI 데이터센터 건설, 머스크의 ‘그록3’ 공개, 개인정보 우려 등

    Scheduled Pinned Locked Moved 📊 업계 동향 & 분석 (industry-trends)
    1 Posts 1 Posters 38 Views
    Loading More Posts
    • Oldest to Newest
    • Newest to Oldest
    • Most Votes
    Reply
    • Reply as topic
    Log in to reply
    This topic has been deleted. Only users with topic management privileges can see it.
    • A Offline
      admin
      last edited by

      1. 전남 AI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
        전남 지역에서 최대 3GW 용량, 약 50조 원 투입 규모의 세계 최대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건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한국을 글로벌 AI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한 야심찬 계획으로 평가됩니다.
        출처: 인공지능신문 / https://www.aitimes.kr/

      2. 머스크의 신형 AI ‘그록3’ 공개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AI 기업 xAI를 통해 차세대 AI 모델 ‘그록3’를 공개하며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 자부했습니다. 이 모델은 챗GPT와 경쟁할 만한 멀티모달 기능과 강화된 연산 능력을 갖추었으며, 수학, 과학, 코딩 분야에서 기존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잠재력을 보입니다.
        출처: KBS 뉴스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179779

      3. 채팅앱에 AI 이식과 개인정보 유출 우려
        국내외 메신저 플랫폼들이 AI를 접목해 초개인화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중국 텐센트는 위챗에 딥시크 AI 모델을 탑재하고 있으며, 한국 카카오도 오픈AI와 협력하여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이용자 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 유출 위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출처: 하이테크정보 / https://www.hitech.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692

      4. 미 연준 부의장의 경고 – 생성형 AI와 자산 거품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부의장은 생성형 AI 사용이 시장 내 위험 집중과 집단행동을 촉발해 자산 거품의 생성 및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 발언은 AI 기술 발전의 부작용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합니다.
        출처: Korea Daily / https://news.koreadaily.com/2025/02/18/economy/economygeneral/20250218165742005.html

      5. 중국 AI 시장 재편: 바이두 vs. 딥시크
        중국 AI 챗봇 시장의 선두주자였던 바이두가 자사의 ‘어니봇’ 성과 부진으로 후발주자인 딥시크를 도입하는 등, 시장 내 입지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딥시크는 중국 내 AI 챗봇 일간 사용자 수 1위를 기록하며 강력한 입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뉴스핌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9000176

      1 Reply Last reply Reply Quote 0
      • First post
        Last post